과학이야기

스트레스, 뇌를 어떻게 바꾸는가?

친절한 과학교사 2025. 6. 2. 06:02

안녕하세요:)

우리는 일상 속에서 스트레스를 피할 수 없습니다. 시험, 인간관계, 업무, 가족, 경제적 불안 등 다양한 요인이 뇌에 부담을 주며, 이로 인해 우리의 뇌는 놀라운 변화를 겪습니다. 그렇다면 과연 스트레스는 뇌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요?


스트레스는 뇌 구조를 변화시킨다

장기간의 만성 스트레스는 뇌의 구조적 변화를 유발합니다.

대표적으로 해마(hippocampus)와 전전두엽(prefrontal cortex)의 크기를 줄이고, 편도체(amygdala)를 과도하게 활성화시킵니다.

 

  • 해마: 학습과 기억을 담당합니다. 스트레스가 심해지면 기억력 저하 및 집중력 감퇴가 나타납니다.
  • 전전두엽: 감정 조절과 의사결정을 담당합니다. 이 부위가 위축되면 충동 조절이 어려워지고 우울, 불안감이 증가합니다.
  • 편도체: 공포와 위협 반응을 담당합니다. 이 부위가 과도하게 활성화되면 불안장애, 공황장애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스트레스와 호르몬: 코르티솔의 역할

스트레스를 받으면 시상하부-뇌하수체-부신 축(HPA axis)이 활성화되어 코르티솔이라는 스트레스 호르몬이 분비됩니다.

단기적으로는 생존에 도움이 되지만, 만성적으로 높아진 코르티솔 수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를 유발합니다.

 

  • 기억력 저하
  • 수면장애
  • 면역력 감소
  • 염증 반응 증가
  • 우울증 및 불안장애 악화

실제 사례: 극심한 스트레스와 건강

  • 과로사: 일본에서는 ’가로시(過労死)’라는 말이 있을 정도로, 업무로 인한 극심한 스트레스로 인해 심장마비, 뇌졸중 등으로 사망하는 사례가 보고되고 있습니다.
  • PTSD(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전쟁 참전 군인, 사고 생존자 등 극단적 스트레스를 경험한 사람들은 편도체가 비정상적으로 활성화되어 공황, 우울, 플래시백을 겪습니다.

스트레스와 암의 관계

많은 연구에서 스트레스가 암을 직접 유발하지는 않지만, 다음과 같은 간접 경로를 통해 암 발병률을 높인다고 보고됩니다.

 

  • 면역 체계 억제: 암세포를 감지하고 제거하는 기능 약화
  • 염증 반응 증가: 만성 염증은 암세포 성장에 유리한 환경 제공
  • 불건강한 습관 유도: 흡연, 폭식, 음주 등 스트레스 해소 방식으로 인한 위험 증가
  • 2008년 Journal of Clinical Investigation의 연구에서는 스트레스 호르몬이 난소암 세포의 성장과 전이를 촉진시킨다는 결과가 보고됨.

뇌 건강을 위한 스트레스 해소법

  • 운동: 유산소 운동은 코르티솔을 줄이고 엔도르핀을 증가시켜 기분을 개선합니다.
  • 명상과 호흡: 뇌의 이완 회로를 활성화시키며, 전전두엽의 기능 회복에 도움을 줍니다.
  • 충분한 수면: 수면은 뇌의 회복을 도우며 스트레스 대응 능력을 높여줍니다.
  • 사회적 지지: 친구, 가족과의 유대는 스트레스 완화에 큰 역할을 합니다.

 

스트레스는 단순히 ‘기분이 나쁜 것’이 아니라 뇌의 기능과 구조에 영향을 주는 생물학적 문제입니다.

이를 무시하면 기억력 저하, 정신 질환, 면역 약화, 심지어 사망까지 이를 수 있습니다.

스트레스를 조절하고 해소하는 습관을 기르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