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교육

밀도 개념을 이해하는 한 가지 방법

친절한 과학교사 2025. 9. 5. 13:55

안녕하세요:)

밀도를 수학적으로 ‘질량 ÷ 부피’라는 공식으로만 설명하면 학생들이 어려워합니다.

그래서, 먼저 직관적으로 접근하는 방법 7단계로 나눠서 소개해 보겠습니다.

1. 무겁고 가벼운 물체에 대한 일반적인 생각

많은 학생들은 “무거운 물체는 아래로, 가벼운 물체는 위로 간다”라고 생각합니다.

일상에서 흔히 접하는 경험이기도 하죠.

 

 

2. 물과 식용유의 질량 또는 무게 비교

예를 들어, 물 1g과 식용유 1000g을 비교해보면 당연히 식용유가 더 무겁습니다.

질량도 크고, 무게도 큽니다.

 

3. 예상하기: 섞으면 어떻게 될까?

이 상황에서 학생들에게 “그렇다면 물과 식용유를 섞으면 어떻게 될까?”라고 물어봅니다.
앞서의 생각대로라면 식용유가 무거우니 아래로 가라앉을 것이라고 답하겠죠.

 

4. 실제 결과 관찰하기

하지만, 실제로 섞어보면 반대 현상이 나타납니다.

식용유가 위로 뜨고, 물이 아래로 가라앉습니다.

 

5. 개념도입: 밀도

이 현상을 통해 학생들은 단순히 질량이나 무게로만 설명할 수 없음을 알게 됩니다.
바로 밀도라는 개념이 필요해지는 것이죠.

밀도는 단위 부피당 질량으로 나타낼 수 있으며, ‘얼마나 빽빽하게 들어차 있는가’를 표현하는 개념입니다.

 

6. 시각적으로 이해하기

밀도를 그림으로 쉽게 이해하려면 물질의 세 가지 상태를 떠올리면 됩니다.

  • 고체: 같은 부피 안에 입자가 빽빽하게 차 있음 → 밀도 큼
  • 액체: 고체보다는 덜 빽빽함 → 밀도 중간
  • 기체: 넓게 퍼져 있음 → 밀도 작음

(얼음처럼 예외는 잠시 무시합니다.)

이렇게 보면 밀도는 단순히 “얼마나 빽빽한가”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7. 물과 식용유의 밀도 비교

같은 부피를 놓고 보면, 물은 식용유보다 더 많은 질량을 가지고 있습니다.

즉, 더 빽빽하게 차 있기 때문에 밀도가 큽니다.
그래서 물은 아래로 가라앉고, 식용유는 위로 뜨는 것이죠.

 

따라서, 물과 기름의 사례를 통해 학생들은 “뜨고 가라앉는 것은 무게 때문이 아니라 밀도 때문”이라는 사실을 자연스럽게 받아들일 수 있습니다.
이 방법은 학생들이 밀도의 개념을 정성적으로 이해하도록 돕는 하나의 효과적인 설명 방식이라고 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