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이야기

전기차에서 들려오는 ‘안전한 소리’의 비밀

친절한 과학교사 2025. 5. 15. 17:18

안녕하세요:)

자동차라고 하면 ‘부릉부릉’ 소리가 먼저 떠오르죠. 그런데 전기차는 아주 조용합니다.

그래서 더 궁금해지는 이야기, “왜 전기차에서 소리가 나지?” 오늘은 전기차의 기본 개념부터, 우리가 길에서 듣는 그 특이한 소리에 대한 이유까지 알려드릴게요.

 


전기차란?

 

전기차(EV, Electric Vehicle)는 전기를 에너지로 사용해 달리는 자동차입니다. 내연기관차처럼 기름을 넣는 대신, 전기를 충전해 배터리로 모터를 돌려서 바퀴를 움직이는 방식이죠.

 

🚘 대표적인 전기차 브랜드: 테슬라, 현대 아이오닉, 기아 EV6 등


전기차의 원리 (내연기관차와의 차이점)

 

항목 내연기관 전기차
동력원 휘발유/경유 전기
엔진 구조 복잡한 피스톤, 벨트, 기어 등 전기모터 중심
소음 크고 진동 많음 매우 조용함
배출가스 CO₂, 질소산화물 등 다량 없음 (주행 시)

 

  • 내연기관차는 연료를 연소(폭발)시켜 엔진을 돌리기 때문에 소음과 진동이 많습니다.
  • 전기차는 전기모터가 회전하면서 작동하기 때문에, 매우 조용하고 매끄럽게 달립니다.

전기차는 정말 친환경일까?

 

많은 분들이 이런 이야기를 합니다:

 

“전기차는 탈 때는 친환경이지만, 전기를 만들 때는 더 많은 오염을 유발하는 거 아니야?”

 

✅ 사실은 이렇게 정리할 수 있어요:

 

  • 전기를 생산할 때 발생하는 오염은 국가의 전력 생산 구조에 따라 다릅니다.
  • 예를 들어 석탄 비중이 높은 국가에서는 전기차가 크게 친환경적이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 하지만 대부분의 나라가 재생에너지·원자력 등 청정 전력 비중을 확대하고 있어서, 장기적으로 보면 전기차가 내연기관차보다 훨씬 적은 탄소를 배출하게 됩니다.

 

📌 미국 에너지부(NREL) 연구에 따르면, 전기차는 전체 수명 주기에서 내연기관차보다 평균 60% 이상 탄소배출이 적습니다.


전기차에서 소리가 나는 이유는?

 

전기차는 너무 조용해서 보행자, 특히 시각장애인, 어린이, 고령자 등에게 위험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의도적으로 소리를 만들어내는 시스템”이 추가되었습니다.

 

이를 AVAS (Acoustic Vehicle Alerting System, 가상 엔진 사운드 시스템)라고 부릅니다.

 

  • 차량이 시속 20km 이하로 주행할 때, 가상의 ‘웅~’하는 소리를 내도록 규정되어 있습니다.
  • 이 소리는 보행자에게 차가 다가오고 있다는 청각 신호 역할을 하죠.
  • 유럽연합(EU), 미국, 한국 모두 이 시스템을 법적으로 의무화하고 있습니다.

 

 

하이브리드 자동차도 소리가 나는 이유?

 

하이브리드 차량도 저속 주행 시 전기모터만으로 움직이기 때문에 조용합니다. 그래서 같은 이유로 AVAS가 탑재되어 있습니다.


덧붙이는 이야기: 전기차 소리는 디자인 요소가 되기도 해요!

 

  • 현대자동차의 경우, 아이오닉 시리즈에 SF영화 같은 전기 소리를 디자인적으로 넣었고,
  • BMW나 포르쉐는 유명 음악가(한스 짐머 등)와 협업해 전기차 사운드를 브랜드 아이덴티티로 활용하기도 합니다.

✅ 정리하며

 

전기차에서 나는 소리는, 조용함의 위험을 줄이기 위한 ‘배려의 소리’입니다.

소리를 없애려는 기술 끝에, 다시 소리를 넣게 된 아이러니한 기술의 진화, 흥미롭지 않나요?

 

다음에 전기차에서 소리가 들리면 이렇게 생각해보세요:

 

“이건 안전을 위한 스마트한 소리구나!” 😊